최근의 미친 부동산 상승에 올라타지 못한 저는 아직도 전세집에 살고 있습니다.
전세집에 살면 대부분 전세자금대출을 받으셨을텐데요. 저는 신한은행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전세자금대출을 받고 계신 분들은 아주 가끔 이런 문자를 받으셨을겁니다.
[Web발신]
[신한은행]
< 신한은행, 금리변동안내 >
고객님의 대출금리가 01월 07일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 대출금리
- 변경 전:X.01
- 변경 후:X.91
☞ 거래실적에 따른 감면내역
- 급여이체 우대금리(0.3%) : 미적용
- 신용카드 우대금리(0.2%) : 미적용
- 신용카드 우대금리(0.1%) : 미적용
- 예적금 우대금리(0.3%) : 미적용
- 전자금융 우대금리(0.1%) : 미적용
- 공과금/관리비 우대금리(0.2%) : 적용
☞ 거래실적 충족여부에 따라 매월 금리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뭐 이렇게 미적용이 많아....)
원래 받아오던 우대금리 중에 급여이체(0.3%), 전자금융(0.1%), 예적금(0.3%), 신용카드(0.2%)가 빠져서
무려 0.9%나 금리가 인상되어 버렸습니다....
미리 체크하지 않은 제 잘못입니다만, 대출받은 금액을 생각해보면,
월 15만원이나 이자를 더 내는 꼴이 되어버렸습니다ㅠㅠ
영점 몇 퍼센트가 크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귀찮아서 내버려 뒀는데, 이렇게 따지고보니 매우 큰 금액입니다.
이미 지난 일은 어쩔 수 없고, 앞으로라도 대출이자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위에 나오는 실적에 따른 우대금리 조건이 무엇무엇이 있나 정리를 해보았으니,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들은 저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바랍니다.
어떤 분들께 여쭤보니 개인마다 우대금리 조건이 다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대략 이정도 내용이라는 것만 파악하시고,
정확한 반영을 위해 가까운 영업점에서 정확한 우대조건을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장학금 2차 신청기간, 소득분위, 지급기준, 지급일자, 기타 사항 (0) | 2020.01.31 |
---|
댓글